오늘은 독서 기록표 엑셀 자동화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!

종이 노트로 독서 기록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.
이제는 엑셀로 깔끔하게 책 제목, 저자, 읽은 날짜, 페이지 수, 감상평까지 정리하고,
심지어 자동 통계와 그래프까지 만들 수 있는 시대예요.
특히 꾸준히 독서를 하는 분들이라면
엑셀로 독서 기록표를 자동화해두면 매달, 연도별 독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독서 기록표 엑셀 자동화 예시를
초보자도 바로 따라할 수 있도록 표 구성 + 함수 + 차트 예시까지 단계별로 소개드립니다.
✅ 독서 기록표 엑셀 1단계: 기본 독서 기록표 구성 – 7개 항목
먼저 기본적인 표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:
날짜 | 책 제목 | 저자 | 페이지 수 | 독서 시간(분) | 별점 | 감상 메모 |
---|
- 날짜: 독서를 시작하거나 완료한 날짜
- 책 제목 & 저자: 자동 정렬 및 필터링 가능
- 페이지 수: 자동 합산 가능
- 독서 시간: 집중력 분석용
- 별점: ★ 1~5
- 감상 메모: 짧은 느낌, 인상 깊은 문장 등
👉 이 표를 Ctrl + T
로 테이블 형식으로 만들면 필터 기능이 자동 적용되고, 범위도 유동적으로 바뀝니다.
✅독서 기록표 엑셀 2단계: 자동 통계 예시 – SUM
, AVERAGE
, COUNTIF
독서량을 수치로 파악하려면 자동 요약 영역이 필요합니다.
상단이나 오른쪽에 아래와 같은 통계를 추가해보세요:
항목 | 수식 예시 |
---|---|
총 책 수 | =COUNTA(B2:B100) |
총 페이지 수 | =SUM(D2:D100) |
평균 페이지 수 | =AVERAGE(D2:D100) |
5점 만점 책 개수 | =COUNTIF(F2:F100, 5) |
총 독서 시간(분) | =SUM(E2:E100) |
✅ 팁: 위 데이터를 매달 필터링하거나, 월별 통계를 별도 시트로 뽑아보세요!
✅독서 기록표 엑셀 3단계: 월별 독서량 분석용 함수 – MONTH
, SUMIFS
책을 많이 읽는 달과 그렇지 않은 달을 분석하고 싶다면
날짜를 기반으로 월별 페이지 합계를 구하는 공식이 필요합니다.
excel복사편집=SUMIFS(페이지범위, MONTH(날짜범위), 월번호)
예:=SUMIFS(D2:D100, B2:B100, ">=2025-01-01", B2:B100, "<=2025-01-31")
👉 월별 시트로 나눠도 좋고, 하나의 요약 시트에서 피벗테이블
로 처리해도 깔끔합니다.
✅ 독서 기록표 엑셀 4단계: 조건부 서식으로 별점 시각화
별점이 높은 책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면
나중에 다시 찾아보거나 추천할 때 편리합니다.
- 별점 5점 → 진한 초록
- 별점 4점 → 연두색
- 별점 3점 이하 → 회색 또는 빨간색
[조건부 서식] → [셀 값에 따라 서식 지정]
→ 직관적이고 기억하기 쉬운 독서 히스토리가 완성됩니다.
✅독서 기록표 엑셀 5단계: 차트 만들기 – 독서량 시각화
아래와 같은 시각 자료도 함께 구성해보세요:
- 월별 독서량(페이지 수) – 꺾은선형 그래프
- 별점 분포 – 막대형 차트
- 장르별 도서 비율 – 도넛형 차트 (추가 열에 장르 입력 필요)
→ 이렇게 하면 나만의 독서 대시보드가 완성됩니다.
✅ 꿀팁: 표와 차트를 같은 시트에 배치하면 보기 편해요!
✅독서 기록표 엑셀 6단계: 독서 템플릿 저장 및 연간 기록 정리
다 만들어진 양식을
📁 독서기록_템플릿.xlsx
으로 저장해두세요.
- 연도별로 복사 →
독서기록_2025.xlsx
- 월별 시트를 추가하면 더 체계적
- 연말에 총합/리뷰 정리도 쉬워짐
✅ 독서 기록표 엑셀 7단계: 읽고 싶은 책 리스트 추가 시트 구성
읽은 책만 기록하는 게 아니라
읽고 싶은 책 목록도 같이 관리해보세요.
순위 | 책 제목 | 저자 | 추천 이유 | 비고 |
---|
이 시트를 추가로 만들어 두면
다음 독서 목표를 쉽게 설정할 수 있고,
독서 계획을 세우는 습관도 자연스럽게 생깁니다.
마무리
엑셀로 만든 독서 기록표는
단순히 ‘읽었다’고 적는 것이 아니라,
내 독서 습관을 분석하고, 책과 나 사이의 관계를 시각화해주는 도구입니다.
오늘 예시를 참고해서
나만의 독서 자동화 엑셀 템플릿을 만들어보세요.
지금부터 시작하면, 올해 말에
“내가 이렇게 책을 많이 읽었구나” 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.